TDF 수익률 미래에셋자산배분TDF2045를 제외한 모든 TDF 펀드들이 1월중 플러스 수익률을 달성하였다. TDF가 투자하고 있는 주식형펀드에 대해서 환헤지를 실행하지 않는 신한BNPP마음편한TDF와 한화LifePlus TDF는 1%대의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였다. TDF2025와 TDF2045간 주식비중이 20% 포인트 이상 차이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TDF2045 펀드수익률보다 TDF 2025펀드의 1월중 수익률이 약간 높은 이유는 미국 등 국채금리가 하락하면서 TDF에서 투자하고 있는 해외채권펀드들의 수익률이 주식수익률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

글로벌 멀티에셋인컴펀드 공격적 멀티인컴펀드인 우리G알리안츠인컴앤그로스가 1월중 1.4%의 수익률을 기록하였고 안정적 멀티에셋인컴펀드들은 0.2~0.4%의 수익률을 기록하였다. 1년전에 출시되어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신한BNPP H2O펀드와 IBK플레인바닐라EMP펀드도 1월중 각각 4.4%(환헤지펀드는 1.6%)와 1.7%의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였다. 두 펀드의 과거 1년 동안의 수익률(22.2% vs 21.9%)과 변동성(연 7.1 vs 5.3%)은 매우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다. IBK플레인바닐라EMP펀드가 환헤지를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신한BNPP H2O의 환오픈(UH)펀드와 비교하였다. 신한BNPP H2O펀드와 IBK플레인바닐라EMP펀드를 글로벌 멀티에셋인컴펀드에 포함시켰다. IBK플레인바닐라EMP펀드는 글로벌멀티에셋인컴펀드 유형이다. 하지만 신한BNPP H2O펀드는 일정 수준의 레버리지를 일으켜서 롱숏전략을 추구하는 글로벌 채권형펀드에 가깝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멀티에셋인컴유형으로 구분한 이유는 채권과 통화에 대한 상대가치전략을 실행하여 안정적 수익률을 추구하는 총수익률펀드이고 두 개의 펀드를 비교하는 것이 여러 가지로 흥미롭기 때문이다. EMP는 ETF Managed Portfolio의 약자로서 펀드 보수가 낮은 ETF 위주로 투자하는 재간접펀드를칭하는 용어이다. 국내 신생 투자자문회사인 플레인바닐라의 투자자문을 기초로 IBK자산이 운용하는 펀드이다. 이 펀드는 글로벌매크로 전략을 기반으로 국내외 주식, 채권 및 대체자산에 투자 방향성을 정하고 리스크패러티를 기반으로 포트폴리오 구성한다. 리스크 패러티(risk parity)란 자산별로 노출되는 위험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전략을 말한다. 환헤지는 실행하지 않는다. |

글로벌채권형펀드 수익률 미국 금리 등 글로벌 금리가 하락하면서 글로벌채권펀드들이 1월중 1%대의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였다. 미국채권비중이 높은 펀드일수록 수익률이 우수하였다. 미래에셋달러우량중장기채권(UH), 삼성달러포시단기채권(UH) 등 환헤지를 실행하지 않은 채권형펀드들은 3~4%대의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였다. |

<미국채 10년 금리의 최근 1년 금리 추이> |

글로벌 하이일드채권펀드 및 이머징채권형펀드 수익률 글로벌 하이일드채권형펀드와 이머징채권형펀드 모두 1월 중 플러스 수익을 달성하였다. 글로벌 하이일드채권형펀드들이 글로벌 투자등급채권펀드보다 수익률이 낮은 이유는 국채금리는 하락하였지만 하이일드채권의 스프레드는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이머징채권형펀드 중 이머징국가의 현지 통화로 발행된 미래에셋이머징로컬본드채권형펀드는 이머징통화 약세로 인하여 손실을 기록하였다. |

<미국 하이일드채권 스프레드 추이> |

국내채권형펀드 수익률 국내채권형펀드들도 1월중 0.3~0.9%의 수익률을 달성하였다. |
